배형민 Pai, Hyungmin

교수 정보 / Faculty Info

연구분야
건축역사, 이론, 비평
연구실
현대건축 연구실 (02-6490-5423)
전화
02-6490-2773
이메일
pai@uos.ac.kr / paihm@hotmail.com

학력사항 / Education

1993. 5. 28 미국 M.I.T. 건축학과, 역사․이론․비평 프로그램
건축학 박사 (Ph.D.)
1985. 7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설계 전공 조경학석사
1983. 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공학사

경력사항 / Career

2011-현재 목천 건축아카이브 위원장
2015-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아르코미술관, DDP 뮤지엄 자문위원
2015-2019 대통령직속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위원
2011-2012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 방문교수
2003. 8-2004. 8 미국 M.I.T. Fulbright Visiting Scholar
1993.8-1995.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1991-2009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Washington University(St. Louis)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1985-1989 한미교육위원단 Fulbright 장학생

논문 / Thesis

저서 및 플랫폼
(총괄기획) <집의 체계: 짓는 집, 부수는 집> 웹 플랫폼 (2021 ~)_http://assemblage.house
(공동저술) 『의심이 힘이다: 배형민과 최문규의 건축대화』, 집, 2019.
(공동편집저술) Imminent Commons: Live From Seoul, New York: Actar, 2018 / 『공유도시: 현장서울』, 워크룸, 2018.
(단독저술) Architecture of Amorepacific, Seoul: Amorepacific, 2018 (limited edition). 『아모레퍼시픽의 건축』, 아모레퍼시픽, 2018.
(공동편집저술) Imminent Commons: Urban Questions for the Near Future, New York: Actar, 2017.
(공동편집) Imminent Commons: Commoning Cities, New York: Actar, 2017.
(구술자) 『원정수 지순 구술집』, 목천건축아카이브, 마티, 2015
(공동편집 및 저술) 『한국건축개념사전』, 동녘, 2013.
(구술자) 『안영배 구술집』, 목천건축아카이브, 마티, 2013
(공저) 『건축도시조경의 지식지형』, 나무도시, 2012
(편집저술) Dense Modernities: Kim Swoo Geun, Korea’s Architect for the Twentieth Century, Berlin: Aedes Gallery Exhibition Catalogue, 2011.
(단독저술) 감각의 단면 -승효상의 건축-』, 동녘, 2007. (영문 Sensuous Plan: The Architecture of Seung H-Sang)
(단독저술) The Portfolio and the Diagram: Architecture, Discourse, and Modernity in America, Cambridge, MA; MIT Press, 2002.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동녘, 2013.
(공동편집) 『동양도시사 속의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전시 기획
초대 큐레이터, <기후미술관: 우리 집의 생애>, 서울시립미술관, 2021. (래닷디자인 본상 수상, Red Dot Design Award)
초대 큐레이터, <모두의 건축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 2020.
총괄 큐레이터, Cosmopolitan Look: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헝가리한국문화원, 부다페스트, 2019 ~ 2020
큐레이터, <아모레퍼시픽의 건축가>, 아모레퍼시픽 본사 사옥 캐비넷, 2018.
총감독, 제1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DDP, 돈의문박물관 마을, 세운상가 등, 2016~2017.
초대 감독, 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 파크, 건축 컬렉션: 건축의 요소/아시아 도시건축/건축생산워크샵 (조남호, 켄고 구마), 광주, 2014 ~15.
총괄 큐레이터, Out of the Ordinary: Award Winning Works by Young Korean Architects, The Cass Gallery, 런던, 2015.
큐레이터,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 Before/After: Mass Studies Does Architecture, 삼성미술관 플라토, 2014.
큐레이터, 제15회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 Crow’s Eye View: The Korean Peninsula, Korean Pavilion, 14th International Architectural Exhibition, Venice Biennale, 2014 (황금사자상 수상, Awarded Golden Lion for Best National Participation)
초청큐레이터, Seung H-Sang, Roh Moo Hyun Funerary Tomb, Unknown Forces, Tophane Amire Gallery, 이스탄불, 2013.
참여작가, 제13회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본전시 Common Pavilion, 13th International Architectural Exhibition, Venice Biennale, 2012.
수석 큐레이터,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2010-11.
큐레이터, 제11회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 Critical Topic: Pajubookcity as Culturescape, 11th International Architectural Exhibition, Venice Biennale, 2008.

논문
"Biennial Governmentality," Imminent Commons: Urban Questions for the Near Future, New York: Actar, 2017.
“The Diagrammatic Construction of Type,” Journal of Architecture 20, Vol. 6, Dec. 2015.
“In and Out of Space: Identity and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Architecture 19, Vol. 3. June 2014.
“Positive Fragments: The Allegorical Language of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in Jinhee Park and John Hong, Convergent Flux, Basel: Birkhauser, 2012.
〈5년제 건축학교육 체제의 건축역사교육 현황과 실험적 대안 프로그램〉『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27, 2011. 7.
〈1990년대 이후 건축역사와 건축설계교육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승회와 최욱의 교육 배경과 작업을 사례로〉《건축역사연구》76, 2011. 6.
“Scientific Management and the Birth of the Functional Diagram," in Mark Garcia, ed., The Diagrams of Architecture, London: AD Reader, 2010.
〈파주출판도시의 낯선 경계〉, 파주출판도시 -컬처스케이프-, 동녘, 2010.
〈20세기 후반 MIT의 건축설계 교육과 기요르기 케피쉬의 기초 디자인 프로그램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건축역사연구》46, 2006. 6.
"Into and Outside of Space: Changing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and Japan," Reassessing East Asia in the Light of Urban and Architectural Histor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 Asian Architectural Culture II, Dec. 2006.
“Between the Wall and Fence: Questions of Identity and Place in the Architecture of Kim Swoo Geun and Seung H-Sang,” Re-thinking and Re-constructing Modern Asian 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modern Asian Architecture Network,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June 27-30, 2005.
〈르 꼬르뷔제 건축에서 돔-이노 프레임과 규준선의 기율 -라 로쉬-잔느레 주택과 가르쉬 주택을 중심으로〉,《건축역사연구》33, 2003. 3.
〈현대건축에서 그리드와 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32, 2002. 12.
〈미국 보자르 건축의 철학과 방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23, 2000. 9.
〈미셸푸코와 현대건축론 〉, 《건축역사연구》16, 1998. 9.
“Modernism, Development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 in Culture and the City in 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현대건축의 철학적 재조명〉, 《건축역사연구》 10, 1996. 12.

논문 외
〈해체, 창작, 재구성: “모두의 건축 소장품”과 건축 수집의 논리〉《퍼블릭 아트》168, 2020.9.
“Critical Distance: Redistributing Korean Criticism,” The Architectural Review, July/August 2020.
〈전시 시대의 감각, 사유와 수행〉《건축, 전시, 큐레이팅》, 마티, 2019.
“Fragments, Systems, and Stories: Making Sense of Korean Architecture,” Design Anthology 22, 2019.
〈건축 전시의 감각과 사유〉 《건축신문》13, 2015.4.22.
"Curatorial Confessions of a Crow," Crow’s Eye View: The Korean Peninsula, Seoul: Archilife, 2014.
“Thematic, or the Landscape of Language,” Dogadobisangdo, Catalogue for the 4th Gwangju Design Biennale, 2012.
"Seoul Biennale or the Making of Place," Imminent Commons: Live From Seoul, New York: Actar, 2018.
"In and Out of the Local," in James Elkins, et al, eds, Art and Globalization, Penn State Press, 2010.
“Pajubookcity and the Critical Boundaries of Publicity" in Public Art: Architecture and Participation, Seoul; Samuso and the Brtitish Council, 2009.
〈건축설계와 건축역사교육: 대상과 담론으로서 역사〉,《건축》358, 2009. 3.
〈Searching for Koolhaas' Seoul 콜하스의 서울을 찾아서〉,《공간》457, 2005. 12.
〈Leeum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문화와 나》, 2004. 가을.
〈고전으로서 루이스 칸의 건축〉, 《POAR》65, 2001. 7.
〈근대의 도전과 현대건축의 과제〉, 《이상건축》1998. 9.
〈서양 현대건축〉, 《건축텍스트북》(1편 제4장), 대한건축학회, 2000. 1.
〈미국현대건축의 흐름과 루이스 칸〉, 《플러스》 1994. 12.
〈정보와 공간의 저항〉, 《공간》313, 1993. 11.

대담 / 비평
〈사람과 기계의 즐거운 분포〉《건축사》615, 2020.6.
"Sitting with Seung-H-Sang, Around the Table of Architecture," Natured: IROJE, Seung H-Sang, New York: Actar, 2020.
〈승효상과 함께, 건축의 테이블에 둘러앉다〉《건축사》607, 2019.11.
〈냉철한 애정: 신경섭과 분포의 미학〉,"Cool Love: Shin Kyungsub and the Aesthetics of Distribution," Cosmos, 《코스모스》, 마티, 2018.
"Architecture as Perpetual Crisis: The Constantly Evolving Architecture of South Korea," The Architectural Review, Jan 2018.
"Open Microcosms and the Closed Sublime: The Worlds of Tomás Saraceno," Tomás Saraceno: Our Interplanetary Bodies, Gwangju: Asia Culture Center, 2017.**
"Curatorial Postscript: Korean Architecture in Global Architecture," WIDE Architecture Report Vol.45, May-June, 2015.
〈큐레이터〉"Curator,"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Before/After: Mass Studies Does Architecture, 삼성미술관 플라토, Seoul: Plateau, Samsung Museum of Art, 2014.
〈건축에 관한 건축 / 김승회〉 《공간》 519, 2011.2.
“Dense Modernities: Kim Swoo Geun and the Architecture of Commitment,” in Dense Modernities: Kim Swoo Geun, Korea’s Architect for the Twentieth Century, Berlin: Aedes Gallery Exhibition Catalogue, 2011.
“Systems as Fragments, Fragments as Systems: The Architectural Language of Cho Minsuk and Mass Studies,” World Architecture 246, Dec., 2010.
"Light Mimesis and Contingent Inventions," Domus 934, March 2010. (불교문화 센터와 승효상)
〈필연과 선택의 건축 언어/ 에스트레뉴와 조민석〉 《공간》 506, 2010.1.
〈건축 프로세스의 탐험/김영준〉《플러스》273, 2010.1.
중앙Sunday "사색의 공간“ 연재, 2009년 12회 "쌈지길"과 최문규 (2009.1.11)
"이우학교"와 김승회 (2009.2.8)
"서울석유"와 임재용 (2009.3.8)
"자하재"와 김영준 (2009.4.5)
"교원개스트 하우스"와 조남호 (2009.5.3)
"학고재"와 최욱 (2009.5.30)
"성마리아 은둔소"와 김종규 (2009.6.28)
"누멘"과 김헌 (2009.7.25)
"춘원당 한의원과 한방박물관"과 황두진 (2009.8.23)
"부산 연산 자이 겔러리"와 조민석 (2009.9.20)
"어번 하이브"와 김인철 (2009.10.18)
"몽인아트센터"와 조병수 (2009.11.15)
"광진교 걷고싶은 다리"와 권문성 (2009.12.13)
http://sunday.joins.com/article/test_list.asp?cat_code=70

〈건축의 불안정한 경계〉, 《유걸》, 공간사, 2008.
"Terra Incognita," S(e)oulscape, SESV Exhibition Catalogue, 피렌체, 2008.
"Meister des Perspektivischen Spiels: Studentenzentrum in Daejeon," and "Klar und Doch Geheimnisvoll: Verlaghaus Taehaksa in der Paju Book City," in Deutsche Bauzeitung Oct. 2007.
〈공공건축/승효상 〉, 《C3 Korea》264, 2006. 8.
〈움직이는 힘마/서혜림, 김준성-힘마건축 〉, 《C3 Korea》259, 2006. 3.
〈김효만 건축에서 시선과 위치/김효만 〉, 《C3 Korea》255, 2005. 11.
〈조직에서 질서로/우규승 〉, 《건축과 환경》222, 2003. 2.
〈벽 속의 관객, 벽 안의 공간: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사루비아 - 오인환 전〉, 《공간》417, 2002. 8.
〈작업과 사유, 과정과 결과/조병수 X 임재용〉, 《건축문화》 243, 2001. 8.
〈조병수의 건축과 절제의 윤리학〉, 《건축과 환경》158, 199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