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는 건축과 도시에 대한 지적 능력과 설계기술을 갖춘 건축전문가와 도시 및 건축이론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건축학자 육성을 프로그램의 핵심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의 세부목표를 세워 연구와 실천, 디자인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 건축이론에 대한 지식과 설계실무능력이 균형 잡힌 건축전문가 육성
- 서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도시와 거대도시에 대한 통찰력을 갖춘 건축전문가의 양성
- 건축이론과 건축설계에 대한 심화된 지식과 도시와 건축분야에 대한 통합적 지식을 갖춘 건축학자 양성
주요 연구 분야는 건축설계 및 건축이론 연구, 건축사 및 역사도시 연구, 현대건축 및 건축도시 연구, 주거이론 도시정책 제도연구, 디자인스튜디오와 통합설계, 설계 중심 연구 및 디자인 정보 연구, 건축계획 및 프로그래밍 연구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연구와 실천적인 탐구 작업은 다양한 연구실을 통해 수행된다.
학사과정과의 연계성과 차별화를 위해 5년 과정의 학부 건축설계 전문과정의 연장선상에서 건축이론과 설계기법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건축가 양성을 위한 심화설계 교과과정과 도시역사문화, 도시디자인, 도시건축이론 등의 전문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갖춘 연구자 양성을 위한 전문통합 교과과정을 복합적으로 운영한다.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offers one of the most diverse graduate programs in Korea, at both Masters and Ph. D. level. The research activities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re founded on the diverse interests and special capacities of each member of the full-time faculty. There are presently twelve research groups in the department, consisting of graduate students in both Masters and Ph.D. programs. Each group is sponsored and guided by a full-time faculty member.

도시설계연구실 / Urban Studies and Design Lab (USDL)

도시설계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가치와 생활의 변화를 공간에 반영하는 매개체이다. 도시설계연구실(Urban Studies and Design Lab)은 도시건축공간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그 변화 과정에 대한 현장 중심의 질적연구와 데이터 기반의 양적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에 요구되는 도시화 개념과 도시건축공간의 방향성 탐구를 지향한다. 구체적으로 인구 및 산업구조 변화와 디지털 혁명,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등 현대 사회의 이슈를 도시건축공간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도시건축공간과 그 변화 과정을 진단하고, 이러한 기반에 미래 사회에 대한 통찰과 다양한 학문과 사회분야를 통합하는 융합적 사고를 더함으로써, 새로운 설계와 가치 향상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불어, 도시건축공간에 대한 탐구와 지식을 기반으로 베트남 등 경제발전에 따른 도시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신흥국 대상의 개발협력사업 참여를 통해 인류사회 기여와 지식의 확산에도 주목하고 있다.


Urban design reflects the evolution of societal values and lifestyle changes dictated by temporal trends into spatial forms. The Urban Studies and Design Lab (USDL) focuses on exploring the directionality of urban architectural spaces and the concepts of urbanization demanded by modern society. This is achieved through a combination of field-centric qualitative research and data-driven quantitative studies o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and their transformation. Specifically, by examining contemporary societal issues—such as shifts in demographics and industrial structures, the digital revolution, climate change, and the pursuit of carbon neutrality—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architectural spaces, the lab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urban spaces and their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corporating future societal insights and fos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hat blends various academic and social disciplines, it seeks to gener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advancements in design and value enhancement. Furthermore, the lab pays attention to contributing to human society and spreading knowledge through participation in cooperation projects targeting emerging countries like Vietnam, where urbanization issues are emerging with economic development.

역사 도시 건축 연구실 / Architecture of the Historic City Lab

역사와 설계, 도시와 건축의 경계에서 서울과 한옥에 대하여 연구한다. 도시한옥은 전통한옥이 근대도시에 적응하면서 만들어진 건축유형이다. 역사도시건축연구실에서는 지형과 도시조직, 구법과 문화정체성에 주목하면서 서울의 한옥을 기록하고 설계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서울은 동아시아의 역사도시이자 거대도시이다. 장소인문학적 관점에서 서울의 장소와 정체성을 정의하고, 역사도시경관의 원형과 보존에 대한 실천적 연구를 진행한다.


The Research Studio in Architecture of the Historic City studies the urban form and the architectural typology of historical cities. The theories and practice of the Studio are found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s of architectural design, on the boundaries between history and design, between city and architecture. The major focus of research is the urban hanok, a residential type that evolv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of historical Seoul. Research work include measurement and typological analysis of existing hanoks, the study of ways to revitalize hanoks, and experimentation with new types of urban architecture. Studies on urban hanoks, architectural drawings, and courtyard architecture in historical cities are some of the topics that are dealt in the studio seminars.

현대건축연구실 / Research Group in Modern Architecture

현대건축연구실에서는 20세기 이후 서양, 아시아, 그리고 한국의 건축과 예술문화를 탐구한다. 역사, 이론, 비평, 큐레이팅은 건축과 예술을 구속하는 작업이 아니라 사고와 상상력을 넓히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작업이다. 연구실에서는 국내외 철학, 미술, 영화, 인문학, 큐레이팅 영역을 망라한 작가, 학자, 기획자들과 교감을 가지며 미학과 정치, 공간과 텍토닉스, 인식과 표상, 역사론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작가론과 함께 건축과 예술의 기율, 건축과 예술의 정치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탐구하고 있다. 현학과 기회주의를 넘어서 논쟁이 가능하고 실천력이 있는 건축 담론을 생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The major field of study of the group is the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and the West. Focused on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architectural discipline of the past century, the Research Group in Modern Architecture works to develop a critical approach to the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of modern architecture. Focusing on issues of tectonics, architectural perception and representation, pedagogical and theoretical constructions, the group has produced studies on the disciplines of Adolf Loos, Le Corbusier, Mies van der Rohe, Louis Kahn, and the Ecoles des Beaux Arts. It has studied the work of major Korean architects and has participated in curatorial projects such as the Venice Biennale. The Group seeks to build a theoretical ground for a critical discourse on modern Korean architecture, one that opens hitherto unspoken realms of architectural production.

건축 도시 연구실 / Research Group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http://sonomad.tistory.com
건축·도시 공간과 도시문화 현상을 관찰, 해석, 실천함으로써 이론과 실무를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거시적 도시 분석과 미시적 건축 관찰을 결합하여 1960년대 이후 서울의 변화를 추적하고 한국 근현대건축에 내재된 집합적 건축·도시 모폴로지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우리 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학생들은 대학원 정규 수업 이외에 우리 도시건축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이를 논문으로 작성한다.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in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the Laboratory maintains a critical position against the theories based on the plastic arts, individual authorship, functionalism, and techno-efficiency. As an alterative to these theories, the Laboratory focuses on the collective and innate morphology of architecture and city. Active participation and teamwork in Korean and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and various architectural and urban projects are the means to translate those theories into practice.

지속가능 건축도시 연구실 / Sustainable Architecture & Urbanism Lab

지속가능 건축도시 연구실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리서치기반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완성된 프로젝트가 질적연구 기반의 POE를 통해 검증되며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선순환을 목표로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 집중하고 있다. 먼저, 환경적, 사회적 지속가능성 기반 설계방법론을 적극 활용한 설계작업을 모색하고 있으며 컨설팅을 병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장소성의 구현을 연구주제로 삼아 현재 학교환경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인 도시화와 고령화 맥락에서 건축과 도시차원의 젠더이슈에 관련된 대안적 설계 및 실천방안에 집중하고 있다.
https://uosarchsaulab.wixsite.com/saulab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Urbanism Lab (SAU Lab)emphasis research based design that is supported by Post-Occupancy Evalu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feed back for better design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topic focuses on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embedding sense of place and gender innovation. Current research projects cover school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ommunity based on aging in place.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공간디자인 연구실 / Research Studio in Space Design

공간디자인 연구실은 도시와 건축을 이루는 물리적 구성요소가 되는 다양한 공간의 설계 해법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곳이다. 건축공간의 본질적 요소에서부터 구축적, 물리적 측면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서로 다른 성격과 스케일의 공간에 적용, 탐구하는 설계와 이론을 탐색하는 현장이자 스튜디오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실제 작업과 더불어 건축설계의 지적재산권과 계약환경 개선을 위한 제안 등 다채로운 실무 연계 연구도 수행한다.


The Research Studio in Space Design was recently established as a broad-spectrum design and research unit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University of Seoul. The research studio refers to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built environment. The scope of design and research encompass many scales and typologies of space, form and organization, whether the focus is a study of interior, architecture, landscape or urbanism. The primary focus is a multi-displinary approach to architectural design that strives to create innovative and provocative solutions of urban space and form.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통합디자인 연구실 / Integral Design Studio

통합디자인연구실은 도시와 건축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통합하여 디자인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공간이다. 이를 위해 대지와 프로그램, 정보, 법규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경관, 교통 등의 도시적 요소와 구조, 기계, 전기조명, 소방방재 등의 건물시스템요소, 그리고 조경, 음향, 일조, 재료 등의 환경적 요소와 경제성, 예산 등의 시공적 요소 등을 통합하여 실제 설계실무와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아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진다.


The Integral Design Studio pursues the design integration of various elements and practices that relate to the city and architecture. For this purpose, the key subjects of the studio encompasses all aspects of architectural and urban practice: Elements of archi-urban: site design, programming, design information, legal issues, the history, culture, landscape, transportation of the site etc. Elements of building system: structure, air-conditioning, plumbing and mechanical services, electrical installation, fire-protection, security etc. Elements of environment: lighting, acoustics, day lighting, materials etc. Elements of construction: building economics. value engineering, cost control etc. The studio participates in various practical projects as it studies integrated design and practical affairs.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SCA 디자인랩 / SCA Design Lab

건축설계는 도시적.인문적 연구 활동이 서로 맞물려 평행선상에서 진행되는 Research-based Design의 형식을 취할 때 그 가치가 더해질 수 있다는 전제하에, SCA 디자인랩은 건축 디자인과 실무에 중심을 둔 연구 활동을 지향한다. 특히 저성장 시대의 과제인 건축재생과 보전의 문제를 도시적 맥락에서 접근하여 건축과 인테리어의 중간 영역에서 디자인적 해결을 찾는 프로젝트를 주로 다루며, 프로젝트 단위의 설계 스튜디오 형식 안에서 리서치와 디자인의 접목을 추구한다. 실제 디자인 프로젝트와 창의적 연구 활동의 균형을 통해 아카데미와 실무의 간극을 메우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연구실의 주된 목표이다. www.scardlab.com


This research unit explores the advantages of research-based design as an alternative strategy for architectural design in contemporary culture. One huge advantage of the academy is the ability to generate a multi-disciplinary discourse through a collaborative process continuously updated through streams of new ideas. Each research topic in the laboratory is small scale and project-based, thus identifying the problems in our contemporary built environment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The collective body of work therefore functions as a barometer for understanding our built environment and its relation to contemporary culture. Recently the laboratory has focused on understanding technology as a generative process for design rather than an application tool. Another important task is to build up knowledge and data on innovative materials and their materiality that can help enhance creative factor in architectural design practice. www.scardlab.com

디자인정보 연구실 / Design Informatics Lab

디자인정보연구실에서는 기술의 발달에 적응하는 정보화 사회의 현상에 주목하면서 정보기술을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디자인 문제를 다각적으로 탐구하며, 건축과 환경을 창의적으로 발전시킬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 실험한다. 관심 연구 주제는 공간정보와 장소성, 사용자 경험에 의거한 디자인 방법론, 디지털 조형과 구법, 디자인 미디어와 인터페이스, 건축 정보의 유통 등이다. 창발적 진화를 거듭하는 건축 지식을 정보기술로서 규정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디자인정보연구실에서는 최근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장소기반 콘텐츠 개발연구와 위키 기반 디지털디자인 연대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기술을 건축설계 및 건축학에 접목하는 시도이며, 역사적 맥락에서 이러한 미디어와 정보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역할을 탐색하는 의미 있는 연구이다. 우리 프로그램의 디지털미디어, 건축설계 등 수업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뿐 아니라, 미래와 과거를 관통하는 풍부한 학문적 바탕 안에서 디지털미디어를 이해 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교육적 근간을 마련하고 있다.


Exploring emerging phenomenon of the era of information, Design Informatics Lab investigates and invents diverse design methods that examine innovative design processes and products by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main focus areas are digital media in design process,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UI/UX) in spatial context, distribution of architectural information. Our research stems from fundamental and practical demands of the architectural design realm and aims to empirical solutions that refine architectural knowledge with information technology.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건축계획 연구실 / Research Group for Architectural Planning

건축환경이 사람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활용하여 직원, 환자, 노인 등 다양한 사용자들의 만족도, 업무성과, 건강, 안전등을 개선하는데 건축이 어떻게 기여하는지 파악한다. 건축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어떻게 느끼고 행동하는지 관찰, 인터뷰, 설문 등을 통해서 사용자 중심으로 건물을 이해하고. 과학적인 정량적인 분석, 정성적인 분석, 사례조사 등을 통한 연구 결과를 설계에 적용한다. 보다 나은 사용자환경을 만들기 위해 환경심리, 인간공학, 경영, 산업공학, 산업 디자인 분야들과 협력한다.


The Research group for Architecture, Culture and Behavio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 We focus on users of design and study how design affects human of various culture and context with a notion that design can help improve human performance, health, and satisfaction. We aim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design and empower design with scientific research, and incorporate research information into design in education and practice. Our approaches include empiric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s well as case studies. We pursue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psychology, human factor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dustrial design.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건축구조 디자인 연구실 / Institute for Building Structures and Innovative Design

본 연구실(IBID)은 건축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영역을 엔지니어링의 컨셉을 이용하여 확장해 나가는데 목적을 둔다. 모든 타입의 건축 테크놀로지와 시스템을 개념적 혹은 재료적인 가능성을 발전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과 유리에서부터 철과 콘크리트의 새로운 디자인적 가능성 그리고 바이오 시스템에 근거한 계폐식 구조물까지 연구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In both its research and its teaching activities, the Institute for Building Structures and Innovative Design (IBID) at the University of Seoul merges the architectural subject areas of design and form with the engineering concepts of analysis, construction, and material science. Following a highly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institute focuses on the conceptual and cross material development of all types of building technologies and structural systems. The scope of work spans from plastic and glass construction, to new possibilities in steel and concrete design, to retractable structures using bio-adaptive systems.

건축설계 연구실 / Transdisciplinary Architectural Design Lab

건축설계 연구실에서는 프로젝트 기반의 건축 설계 작업에, 물리적 환경, 사회적 관계, 생태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통학문적 접근 및 연구를 통합하고자 한다.

주로 건축재료 연구 및 건축설계방법으로의 적용에 주목하여, 건축설계와 구축을 생태, 경제, 기술 시스템과 어떻게 통합하고, 지속가능한 건축실무를 위해 어떻게 대응하며, 새로운 사회 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해 디자인 방법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고, 일상의 경험과 대중의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를 탐구한다.


Focusing on project-based design and research works, Transdisciplinary Architectural Design Lab incorporates a collaborative understanding of the ways design transforms built environments, social relations and ecological systems. The complex situations around the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call for broad assembly of knowledge, skills and activist ideas. In practising design lab, there is an increasing diversity of ways different design disciplines address social issues using new ideas, tools and methods, work in multi-disciplinary teams, consider problems from multiple perspectives, gain insight from other industries and technologies, and emerge with a portfolio of projects presenting design as a process for transforming our lives.

Mainly focusing on materials, our research examines how to integrate archite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with ecologic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systems, how to act toward sustainable architectural practices, how to nourish design methods to establish a new form of social community, and how to transform the everyday experiences and public perceptions.

담당교수 관련 동영상 ↗︎

서울 스케이프 랩 / Seoulscapes Lab


As the urban disciplines try to come to terms with the legacy of modern architecture, the post-industrial city and the effects of global economic forces on urbanization processes, any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urbanism today appears to come after the fact. On one hand, there is no doubt about the vitality of the urban world. But on the other, modern manifestos are obsolete and the formulation of comprehensive, univer­sal urban theories today seems impossible.
The urban outcome of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was a fast-track experiment on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It is our context both as an artificial nature and as a modus operandi. Its faults and contradictions should not prevent us from seeing the possibilities of this form of human settlement –nor absolve us from the responsibility to address its shortcomings.
After 40 years of accelerated growth, a paradigm shift is taking place. The goal of Seoulscapes Lab is to outline working scenarios for urbanism in Seoul in order to define opportunities for intervention, expand the role of architects within it, and revise the modern legacy. Focuses of research are: a new housing culture; tourism & the city; alternative processes of urban regeneration; infrastructure re-loaded; new relationships between city and production; etc.

융합 디자인 연구실 / Convergence Design Lab

융합디자인연구실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의 건축에 대한 복잡다단한 요구를 파악하고 미래의 인문, 도시환경의 변화를 추론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건축 내외의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타 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건축의 외연 확장을 탐구한다. 디지털기술에 기반한 디자인 방법론, 새로운 건축소재 발굴과 이를 위한 구축법을 주요 연구 주제로 하여, 건축의 프로세스와 이와 연계된 산업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다양한 층위에서 창의적 접근과 구체적 실현, 분야 간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기술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The Convergence Design Lab explores new architectures based on emerging technologies and by operating at the intersection/convergence of related fields. With a main focus on digital design methods, exploration of novel materials and tectonics, our research examines the potential utilization of technology as a medium for creative approaches, physical realization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t various levels in architecture and related industrial ecosystems

환경건축기술 연구실 / AETA Lab

환경 건축 기술 연구실 (AETA Lab) 은 기후위기의 시대에 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건축의 경계를 넓혀 환경, 기술, 건축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는 건축, 조경, 지리학, 예술, 공학 등의 다분야간 융합과 새로운 협업의 가능성을 탐구하여 건축과 환경의 관계를 새롭게 조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지속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방식의 구축방법을 연구하여 건축과 기술을 긴밀히 연결시키는 것을 주된 연구주제로 한다.


AETA Lab aims to explore the intersections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architecture as it recognizes the role of architecture in the climate crisis era. This involves investigating the potential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new collaborations between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geography, art, and engineering to delve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he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lab also focuses on researching sustainable and reusable construction methods to closely link architecture and technology.

도시과학 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도시과학 대학원은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킨 도시문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1982년에 국내 최초로 설립된 특수대학원으로서, 일반인과 공무원을 재교육하여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고 있습니다.
석사과정으로 도시행정학과,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도시계획학과, 교통관리학과, 관광문화학과, 건축공학과, 조경학과, 환경공학과, 방재공학과, 공간정보공학과, 부동산학과 등이 있습니다. 1999년 4월 23일부터 도시행정대학원에서 도시과학 대학원으로 확대 개편되어 도시과학 분야의 종합 전문교육기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offers masters degrees in urban administration, real estate, public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tourism and culture, urban planning, transportation management, architectural engineer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informatics,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landscape engineering. Its goal is the continuing education of high-level professionals and public officials.

서울학 연구소 /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서울학연구소는 ‘서울학’을 육성, 확산하기 위해 서울 600년을 계기로 하여 1993년 서울특별시의 지원 아래 서울시립대학교 부설로 설립되었습니다. 서울학의 연구대상은 도시 서울입니다.
서울학은 서울의 장소, 사람, 일, 문화를 만들어내고 변화시키는 과정과 힘을 탐구하여 서울이 지닌 도시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서울학은 종합적 관점을 견지하면서 학제적 연구를 지향합니다. 서울에 대한 여러 기성학문 분야(역사학, 지리학,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건축 및 도시계획학 등)의 연구 관심과 성과가 상호조명되고 교차되는 것이 서울학 입니다. 서울학의 학문적 관심은 오늘의 서울을 만들어낸 역사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있지만, 그 실천적 관심은 현재의 서울에 대한 심화된 성찰을 통해 보다 나은 서울의 미래를 그리는 데에 있습니다.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was established in 1993, on the 6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Seoul as the capital of Korea. Its objective is to rediscover and reinterpret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ity of Seoul and to study it in systematic fashion. It aims to inspire the citizens of Seoul to support heritage and local research and bring about a spirit of community.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urban history, geography, culture, nature, urbanism, architecture, economics, environmental studies, social sciences and various other fields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growth of Seoul,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provides guidance the intellectual foundation for Seoul's development as a rich cultural city.

도시과학 연구원 / The Institute of Urban Sciences

도시과학연구원은 연구와 더불어 1996년 이후 2년마다 서울 메트로폴리탄포라(Seoul Metropolitan Fora)를 개최하여 국내외 학자와 전문가들이 이론과 경험을 교환하고 토의하는 장을 마련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2005년 이후 매년 서울과 동경에서 번갈아 서울-동경조인트 세미나(수도대학동경)을 개최하여, 동경과 서울의 대도시문제와 삶의 질을 분석-진단하기 위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도시과학연구원이 발간하는 국제도시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은 국내 유일의 도시관련 학제간 저널로서 세계 1,000여개 대학과 연구기관에 배포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도시과학연구원은 거대 도시의 제반 문제를 짚어보고, 인간성, 친환경성, 역사성, 기술을 통합하는 미래 도시의 청사진을 모색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입니다.


The Institute of Urban Science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projects that deal with metropolitan issues such as urban planning, natural disaster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traffic problems. It holds several academic seminars annually and publish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Urban Sciences. It is composed of seven centers: Institute of Metropolitan Studies, Center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Center for Environmental Design, Center for Design of Street Facilities, Center for GIS Research,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and Center for Global Urban Research.